[영화 변호인] 노무현 전 대통령과 부림사건의 실화를 재연한 끔찍한 그날의 이야기 [관람후기/평점/리뷰/결말]
영화 변호인은 개봉 전부터 고인이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산 변호사 시절을 모티브로
한 영화여서 상당히 이슈가 되었던
작품이었다.
오랜만에 엄마를 모시고, 대한민국의 가슴아팠던
부림사건의 이야기를 그려낸 변호인을
관람하게 되었다.
영화 변호인 출연배우 및 감독
변호인은 대한민국 대표배우라 할 수 있는
송강호 님이 노무현 전 대통령역을 잘 소화하였으며,
그 당시 부림사건의 도마위에 올랐던
판사 및 검사 그리고 노무현 대통령을
따랐던 변호인들이 함께 출연한다.
제국의 아이들 아이돌인 임시완이
다소 민감할 수 있는 이야기와 굵직한
배우들과 함께 하여 의아해 했었으나,
그간 TV에서 보였던 연기력을 보고
의심하지 않았기에 색안경은 내려두고 보게 되었다.
각본과 감독은 처음으로 보이는 양우석 감독님.
영화 변호인
제작사 - 위더스 필름
배급사 - NEW
(요즘 뉴가 잘나간다. 신세계, 7번방, 감시자들 등등)
영화 소개에 앞서 부림사건이란?
출처 - 두산백과
영화 변호인 줄거리 및 내용
1980년대 초 부산.
빽 없고, 돈 없고, 가방끈도 짧은
세무 변호사 송우석(송강호).
부동산 등기부터 세금 자문까지 남들이
뭐라든 탁월한 사업수완으로 승승장구하며
부산에서 제일 잘나가고 돈 잘 버는 변호사로 이름을 날린다.
대기업의 스카우트 제의까지 받으며
전국구 변호사 데뷔를 코 앞에 둔 송변.
하지만 우연히 7년 전 밥값 신세를 지며
정을 쌓은 국밥집 아들 진우(임시완)가 뜻하지 않은
사건에 휘말려 재판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을 듣는다.
국밥집 아줌마 순애(김영애)의 간절한 부탁을 외면할 수 없어
구치소 면회만이라도 도와주겠다고 나선 송변.
하지만 그곳에서 마주한 진우의 믿지 못할 모습에
충격을 받은 송변은 모두가 회피하기 바빴던
사건의 변호를 맡기로 결심하는데...
“제가 하께요, 변호인. 하겠습니더”
- 故 노무현 대통령의 인생이 담긴 작품
영화에서 송강호는 어려운 삶을 이겨낸
상고 출신의 변호사로 나온다.
어렵게 성공한 만큼 돈에 집착하고, 남들이
소위 학벌도 안되는 것이 속물 변호사라며
이야기 하지만, 부림사건을 마주하게 되며
인권 변호사의 길을 걷게된다.
실제 노무현 전 대통령은 부산상고 출신으로서,
모든 이야기를 감독이 아주 잘 녹여내었다.
배우 송강호는 그분의 이야기에 누가 되지 않을까?
싶어 처음에 캐스팅 제의가 왔을 때,
거절을 했었다고 한다.
아무리 연기를 잘한다 한들 높으신 분이었고,
또한 정치적으로도 민감할 수 있는
사안이었기에 그런지도 모르겠다.
- 불온서적이 대체 뭐길래? 민주주의는 어디에?
어렵고 배고픈 시절 돼지국밥 집에서 몰래 돈을 안내고
갔다가, 성공하게 된 후 그 집에 다시 찾아가게
되면서 국밥집 사장님과 아들인 임시완(진우)과
인연을 트게 되는 송강호(우석).
변호인 차동영의 실제인물은
대공분실 수사원이었던 '이덕만 경감' 이었다고 한다.
아들같이 느껴지던 진우가 곽도원(차동영-차경감)의
주도 아래 감금당하게 되고,
고문당하게 되고, 심지어 없는 죄를
만들어서 작성하게 만드는
소위 허위자백까지 서슴치 않는 부림사건의
시초가 발생하게 된다.
- 불온서적 출처
이니지오님 블로그
(http://inizios.blog.me/10180800260)
불온이란
온당하지 않고, 사상이나 태도따위가
체제에 순응하지 않고 맞서는 성질을
갖고 있다. 라는 의미이다.
한마디로 대든다 이말임.
그때의 우리나라는 전두환 시절일 때라
민주주의가 아닌 공산주의라 해도 맞겠다.
- 상처받은 엄마의 마음, 그리고 인권 변호사의 길로..
- 어떻게 사람의 탈을 쓰고? 끔찍했던 고문의 현장
이제 아이돌이 연기를? 이라는 색안경은
더이상 넣어두어도 좋을 듯 싶다.
임시완은 실제로 세트장의 문제로
1주일을 몰아서 차경감 역이던 곽도원과
함께 고문받는 씬만 촬영했다고 한다.
너무나 처참했던 사람의 탈을 쓰고
어찌 그런 잔인한 일을 할 수 있었을지
보는 내내 욕이 쳐나왔다.
변호인 부림사건의 피해자셨던
실존인물들과 가족들이 생존해 계신데,
영화를 보면서 얼마나 가슴이 아플까?
모든 배우들이 한씬 한씬
힘이 들어갔고, 열연이 빛난
변호인이었다.
- 노무현 대통령이 다시 보고 싶은.. 송강호의 열연
속물 변호사를 풍자했던 초반씬에 비해
부림사건의 횡포를 깨달은 그분이 인권 변호사의
길로 걷게된 장면에서 나도 모르게
눈시울이 젖게 되었다.
실제 그분의 모습을 닮은 면모를
배우 송강호가 너무나 자연스레 잘 녹여내었기
때문이다.
- 1970~80년대의 완벽한 재현
영화 변호인의 제작비는 70억원.
엔딩크레딧에 촬영장소가 대전, 부산 등
상세한 촬영지가 나오는데,
그때의 배경이 된 소품이나 의상
배경등이 완벽하게 재현되어 그때의
향수를 맡는 것도 이영화의 또다른 포인트이다.
- 노무현 대통령의 그때 그 모습들
영화 변호인에서 송우석은 나름 돈도 벌고,
여가를 즐기는 모습이 나오는데, 그 중에
88년 서울 올림픽에 요트 종목에 출전을
하고 싶어 (요트를 가져야 출전권이 있다라고 나옴)
요트를 타는 모습이 나온다.
이 경기용 요트가 조.중.동의
호화요트로 둔갑 및 오보가 되어,
14대 국회의원 선거에 영향을 받아 실패하게
된다고 한다.
호화요트나 즐기는 국회의원이라고 말이다.
요즘도 누가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고 하듯,
그때 그 시절은 참 상식이 통하지
않던 시대는 분명한 듯 하다.
국민을 생각하려는 국민에 의한
대통령의 시초는 바로 이 때가 아닐까?
영화 변호인 명대사
말이 재판이지.
그저 형을 몇년 살것인지만
판가름 하려던 그때 그모습.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 부터 나온다."
"국가란 국민입니다."
"바위는 강하지만 죽은것이고,
계란은 약하지만 산것이다.
계란은 살아서 바위를 뛰어 넘는다."
포기란 없다라는 명대사..
영화 변호인 극장 팜플렛/포스터 스캔본
제이캐슬이 직접 극장에서 가져온 것을
원본 스캔하여 서명없이 올립니다.
필요하신 분은 따뜻한 덧글이나
손가락 추천으로 보답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화 변호인의 리뷰를 마치며. 결말
▼ 돈버는 어플 안내 ▼
▲ 애드젯 제이캐슬 추천인으로 가입하기
댓글